WEB기본(DHCP,DNS)

1 minute read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호스트의 IP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
  • 네트워크에서 컴퓨터에게 자동으로 IP주소, gateway주소를 할당해주는 것을 의미하며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일정기간 IP를 동적으로 임대해주는 프로토콜.
  • IP주소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에게 동적으로 IP를 할당해주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며 IP충돌을 막을 수 있다.
  • Dynamic IP를 가진 서버의 경우, Domain Name이 아닌 IP로 접속할 때 일정 기간 이후에 다른 IP를 할당 받으므로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럴 경우 서버는 static ip를 할당받거나 클라이언트는 Domain Name으로 접속하여 DNS서버로 부터 바뀐 IP주소를 제공받아야한다.

DHCP 서버로부터 IP를 할당받는 과정

  1. BroadCasting으로 (FF:FF:FF:FF:FF:FF)의 맥주소로 LAN상에 DHCP서버가 있다면 응답해달라는 메시지를 보낸다.
  2. DHCP서버는 이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기에 할당할 IP, first-hop router IP, DNS server IP, subnet mask를 포함한 네트워크 정보를 실어서 단말기에 응답한다.
  3. 단말기는 DHCP의 존재를 알았기 때문에 DHCP Request 메시지를 통해 단말이 사용할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한다.
  4. DHCP서버는 단말에게 DHCP Ack(단말에 할당할 IP주소, Subnet Mask, first hop router IP, DNS Server IP, IP Lease Time, DHCP Server Identifier)를 전송한다.
  5. DHCP Ack을 수신한 단말은 IP를 할당받았으므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DNS

Domain Name

IP주소는 12자리의 숫자로 되어있기 때문에 사람이 외우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12자리의 IP 주소를 문자로 표현한 주소를 도메인 네임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 도메인 네임은 ‘naver.com’처럼 몇 개의 의미있는 문자들과 점(.)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도메인 네임은 사람의 편의성을 위해 만든 주소이므로 실제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도메인 네임과 함께 해당하는 IP 주소값을 한 쌍으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DNS(Domain Name System) 이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사람이 도메인 네임으로 입력하면 DNS를 이용해 컴퓨터는 IP 주소를 받아 찾아갈 수 있는 것이다.



작동방식

  1.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도메인 네임(www.naver.com)을 입력한다.
  2. 사용자가 입력한 URL 주소 중에서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부분을 DNS 서버에서 검색하고,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 사용자가 입력한 URL 정보와 함께 전달한다.
  3. 페이지 URL 정보와 전달받은 IP 주소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HTTP 요청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 해당 IP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된다.
  4. 이렇게 도착한 HTTP 요청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URL 정보로 변환되어 웹 페이지 URL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5. 검색된 웹 페이지 데이터는 또 다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 원래 컴퓨터로 전송된다.
  6. 도착한 HTTP 응답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

Categories:

Updated: